![]() |
![]() |
![]() |
![]() |
![]() |
"충청권 등 지방 메가시티 청사진 구체화가 우선"-김지사,국민의힘의 김포시 서울시 편입 움직임에 우려…"행정체제 개편 기회로 삼아야..."
|
![]() ▲ 사진 좌)김태흠지사, 우)김동연 경기지 © 김헌규 기자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국민의힘이 추진 중인 경기도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움직임에 우려를 표명했다.
김태흠지사는"충청권 등 지방 메가시티 청사진 구체화와,서울과 그 주변의 행정구역 정비보다 지방 메가시티가 우선”이라며 김포시의 서울시에 통합하는 것을 반대하고 나섰다.
6일 오전 김 지사는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지방시대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청사진이 먼저 제시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지사는“메가서울은 찬·반 여부를 떠나 일의 순서가 중요하다."면서"수도권에 쏠려있는 산업, 교육 등을 어떻게 지방으로 이전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행정과 교육, 재정 권한 이양 등 획기적인 청사진이 먼저 제시돼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밝혔다.
또,“지방 메가시티가 조속히 완성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강하게 요구할 것”이라며 “충청권 메가시티도 더 강도 있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충남을 비롯해 대전과 세종, 충북 등 4개 광역단체를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통합하는 것이 골자다.
김 지사는 다만 이번 김포-서울 편입 논란으로 충청권 메가시티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재차 “수도권 메가시티보다 지방 메가시티가 우선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이번 논란에 따라 충청권 메가시티가 탄력을 받고 논의도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인 측면도 있어보인다기”고 밝혔다.
민선8기 임기 내 충청권 4개 시·도가 통합될 경우 다음 선거에 “불출마하겠다”는 의사도 밝혀 눈길을 끌었다.
김 지사는 또 일제 강점기 당시 만들어진 행정체제와 관련 대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까지도 주민등록등본, 호적등본을 수기로 뗄 때와 같은 시스템이 여전히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한 뒤 “현 행정체제는 교통과 통신, 인터넷 발전에 따른 주민의 생활, 문화, 경제권 변화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향해 문제점을 개편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동연경기지사는 지난 6일, 2024년도 본예산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한 기자는"주민의견이 가장 중요하고, 김포시민 90%가 편입에 찬성한다."는 것과"김병수시장,의회의원들도 서울 편입을 원한다."라는 말에 김동연 경기지사는"주민의견이 가장 중요하다고 얘기한 적 없다. 주민의견이 중요하나 갖고있는 가치와 정책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국토의 균형발전과 지금의 일극화를 깨고,다극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김포시민90%가 서울편입을 찬성했다고 하는데 뭘보고 그런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다. 그건 따져 봐야하고 함부로 얘기할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또 그는"제가 만났던 김포시민들은 이것 다 정치 속임수라고 100%얘기하고 있다."고 김포시민의 서울편입을 90%원하고 있다는 얘기에 사실관계 수정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김포시가 서울편입의 장단점을 따져본 적이 있냐."면서 정부여당의 경솔함을 지적했다.
김지사는 김포시가 서울편입을 하려면"세금은 어떻게 될까.김포시민들이 내야할 분담금 문제는 어떻게 될까"에 대한 고민없는 여당에 대해 직격했다.
김지사는"김포시의 가장 큰 문제는'교통문제'라면서"이것 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지방자치법에는 주민의견 수렴을 의무화하고 있다. 최소한 이 건이 성사되려면 당사자인 김포시, 서울시, 경기도 주민 내지는 각 의회에 의견을 물어야 한다. 21대 국회가 내년 봄에 임기 만료되고, 내년 4월 총선인 상황에서 이것을 한다는 것 자체가 실현 가능성 있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나라의 미래는 안중에도 없고, 김포시민을 표로만 보는 이런 선거용 정치쇼가 어디 있나.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나. 경기도지사로서 개탄스러울 따름이다"이라면"서울확장은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되지도 않을 일로, 국론분열과 소모적 논란을 이어가는 건 국가적 에너지 낭비일 뿐"이라고 김포시 서울편입에 대한 불가능을 설명했다.